# 공식문서
https://firebase.google.com/docs/flutter/setup?hl=ko&platform=android
- 1단계는 완료, 2단계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확인만 함 (Youtube 강의 봄)
- Firebase CLI를 설치/사용하는 이유: 설치 없이 그냥 Firebase Console에서 하나하나 클릭해가며 설치/연동할 수도 있다. 하지만 Firebase CLI를 설치/사용하면, 내가 만드는 Flutter Project(App)에 Firebase를 command line 만으로 쉽게 설치/연동시킬 수 있다.
(예: Firebase CLI 없이 manually 진행한다면, Google JSON 파일 같은 것들을 하나하나 다운받아서 적절한 디렉토리에 넣어준다거나, gradle 파일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준다거나 해야 함)
- 참고한 Youtube 강의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FP8GnJcJHA
# 다음에 할 일
- 다음의 용어들이 무슨 뜻인지, 언제 사용되는지 알아보기
. async
. WidgetsFlutterBinding
. ensureInitialized
. await
- Youtube 강의를 끝까지 훑어본다.
- Firebase Console에서 기존의 project를 폐기하고, Flutter Project도 폐기한다. 그리고 Flutter Project를 새로 파서, Firebase CLI로 설치부터 시작한다.
'코딩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기초 - 생활코딩 (0) | 2025.02.10 |
---|---|
async, await, ... (0) | 2025.02.06 |
flutter <-> firebase 연동 (0) | 2025.01.30 |
cross-platform app ... 아무래도 플러터를? (2) | 2025.01.29 |
하이브리드 앱 개발 _ 웹으로 만들어서 앱으로 감싸려고... (1) | 2025.01.23 |